해외 전시에서 작품이 실제로 판매되는 순간은 작가에게 큰 성취이자 또 다른 과제의 시작입니다. 단순히 작품을 판매하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보이스 작성, 대금 수령, 세금 신고까지 꼼꼼히 챙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처음 해외 전시를 경험하는 작가라면 “인보이스는 누가 작성하지?”, “송금은 어떻게 받지?”, “세금은 어디서 내야 하나?” 같은 고민으로 막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외 전시 중 작품이 판매될 때 꼭 알아야 할 인보이스·송금·세금 절차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인보이스(Invoice) 작성, 누가 어디서 하나?
인보이스는 작품 판매 시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거래 영수증 같은 문서입니다.
- 작성 주체: 작품을 판매하는 쪽, 즉 작가 본인이 직접 작성해도 되고, 갤러리 전시라면 갤러리 담당자가 대신 작성하기도 합니다.
- 작성 방식: 정부나 세무서에서 제공하는 공식 양식은 없으며, 워드·엑셀·구글 문서 등으로 A4 한 장에 간단히 작성하면 충분합니다.
- 중요 포인트: 작품 정보와 판매 금액, 바이어 정보, 작가 서명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처음 인보이스를 접하는 작가들은 “내가 작성해도 되는 걸까?” 하고 겁을 내곤 합니다. 하지만 인보이스는 결국 거래 사실을 기록하는 공식 영수증일 뿐이므로, 겁먹지 말고 기본 항목만 채워 넣으면 됩니다.
📑 인보이스 기본 항목 예시
Invoice No. | 2025-001 (작가 임의 번호 부여) |
Date | 2025-09-01 |
Seller(판매자) | 작가 이름, 연락처, 주소 |
Buyer(구매자) | 바이어 이름, 연락처, 주소 |
Artwork Title | “봄의 울림” |
Year / Medium / Size | 2025 / Oil on canvas / 50×60cm |
Price | USD 5,000 |
Payment Method | Bank Transfer (or PayPal) |
Signature | 작가 서명 |
👉 위 표는 기본 틀이며, 작가 상황에 맞게 항목을 추가하거나 줄여도 무방합니다.
2. 작품 판매 대금 수령 방법
해외 전시에서 작품이 판매되면 대금을 어떻게 받을지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 현지 계좌 입금: 전시국가에 은행 계좌가 있다면 수수료가 가장 저렴합니다. 단, 외국인 계좌 개설은 까다로운 경우가 많습니다.
- PayPal 등 온라인 결제: 빠르고 간편하지만, 수수료가 약 4~5% 발생합니다. 바이어가 개인일 경우 선호도가 높습니다.
- 국제 송금(해외 송금): 한국 은행 계좌로 직접 받는 방식입니다. 환율 변동과 송금 수수료(보통 $20~40 정도)를 고려해야 하며, 은행 송금 확인서를 반드시 보관해야 합니다.
👉 어떤 방식을 택하든, 송금 내역과 인보이스는 함께 보관해야 차후 세무 신고나 법적 분쟁 시 증빙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세금 신고에서 놓치기 쉬운 부분
작품 판매가 이루어지면 반드시 세금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 현지 과세: 미국이나 유럽 일부 국가는 외국인 판매에 대해 원천징수(세금 선공제)를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실제 입금액은 판매가에서 세금이 제외된 금액이 됩니다.
- 국내 신고: 해외에서 받은 판매 대금도 한국의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금액이 크든 작든, 인보이스와 송금 내역을 증빙으로 보관해 두어야 합니다.
- 중요 서류: 인보이스, 갤러리 계약서, 송금 확인서, 세금 공제 영수증 등이 모두 세무 신고 시 필요합니다.
결론
해외 전시에서 작품을 판매하는 과정은 단순한 거래가 아니라, 인보이스 작성 → 대금 수령 → 세금 신고로 이어지는 행정 절차의 연속입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겁이 날 수 있지만, 기본 항목만 지키면 누구나 직접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기록을 남기고 증빙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해외 전시에서의 작품 판매를 조금 더 자신 있게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편에서는 해외 전시가 끝난 뒤, 작품 반입 절차·보험·세무 기록 정리에 대해 다루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