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가 심리 진단용으로 쓸 수 있는 HTP,KFD 검사

by Awon0428 2025. 4. 26.

  • HTP 검사는 자신이 살아온 환경과 내면 상태를 보여주고,
  • KFD 검사는 자신이 느끼는 가족 속 역할과 관계에 대한 무의식을 드러냅니다.

이런 검사는 심리상담 초반에 내담자의 마음을 파악하고
상담 방향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일상에서도 자가진단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검사랍니다.

 

이제 미술심리치료의 핵심 도구인 HTP 검사KFD 검사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겠읍니다
두 검사 모두 투사적 그림검사(Projective Drawing Test)로,
말보다 그림을 통해 내담자의 무의식, 정서 상태, 대인관계를 살펴보는 심리진단 도구예요.
실제로 병원, 상담센터, 학교, 심리클리닉에서 널리 사용된답니다


🎨 1. HTP 검사 (House-Tree-Person Test)

🔹 개요

HTP는 말 그대로 집(House), 나무(Tree), 사람(Person)
이 세 가지 대상을 그리게 하고, 그 그림을 통해 개인의 성격, 정서, 가족관계, 자아상 등을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 검사 방법

  1. A4용지 3장을 주고,
    • 첫 번째에 "집을 그려보세요."
    • 두 번째에 "나무를 그려보세요."
    • 세 번째에 "사람을 그려보세요."
  2. 색연필 또는 연필로 자유롭게 그리게 함
  3. 그 후 각 그림에 대한 간단한 질문을 던짐 (예: “이 집에는 누가 살고 있나요?”)

🔹 상징적 해석 포인트

  • : 가정환경, 정서 안정감
    • 창문 없음 → 폐쇄적 성향
    • 지붕 너무 크면 → 공상, 회피경향
  • 나무: 자아의 성장, 내면의 힘
    • 뿌리 없음 → 정체성 불안정
    • 가지가 너무 많은 나무 → 산만함, 과잉에너지
  • 사람: 자아상, 사회적 관계
    • 손, 발 생략 → 무기력, 소통 어려움
    • 눈에 힘을 많이 줌 → 불안, 감시받는 느낌

🔹 활용 대상

성인뿐 아니라 어린이와 청소년에게도 널리 사용되며,
자폐, 우울증, 불안장애 등 정서적 문제 파악에 유용합니다.


🧍‍♀️ 2. KFD 검사 (Kinetic Family Drawing)

🔹 개요

**KFD (운동감 있는 가족화 검사)**는
“가족들이 함께 무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을 그리게 함으로써
가족 간의 심리적 거리, 애착, 갈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투사그림 검사예요.

🔹 검사 방법

  1. A4용지 한 장과 색연필
  2. 다음과 같이 지시
  3. “당신의 가족이 함께 무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보세요.”
    → 예: 밥 먹는 중, 텔레비전 보는 중, 공원 산책, 놀이터, 캠핑 등 자유롭게!
  4. 그 후 질문
    • “누가 어떤 행동을 하고 있나요?”
    • “왜 그렇게 그렸나요?”
    • “누가 중심 역할인가요?”

🔹 해석 포인트

  • 크기 차이: 부모가 작거나 작게 그려지면 영향력 부족 또는 분노감
  • 거리감: 자신이 가족과 멀리 떨어져 있음 → 소외감, 고립
  • 행동 부재: 가족 중 누군가만 움직이지 않음 → 단절된 관계
  • 시선 방향: 서로 눈을 안 마주치면 소통 단절 가능성
  • 위치: 누가 중앙에 있느냐 → 심리적 중심이 누구인지

🔹 활용 대상

특히 아동·청소년의 가족 문제,
부모-자녀 갈등, 형제 간 질투, 이혼가정 적응 등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성인 대상 가족치료에서도 종종 활용됩니다


💡 두 검사, 어떻게 다른가요?

구분HTP 검사KFD 검사
대상 집, 나무, 사람 (정적인 요소) 가족이 함께하는 장면 (동적인 요소)
초점 자아, 내면, 정서 상태 가족관계, 소통, 애착
분석 방식 상징 중심 분석 행동과 관계 중심 분석
대상자 전 연령 가능 주로 아동·청소년, 가족 문제 성인
반응형